우리 집도 예외 아니다…오래된 아파트 온수에서 '납'이 2배 검출

 라면을 끓이거나 요리를 할 때 조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무심코 수돗물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사소한 습관이 장기적으로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경고가 나와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요리나 음용 목적의 물을 사용할 때 수돗물 온수를 직접 사용하는 것을 피하라고 공식적으로 권고했다. 그 이유는 온수가 보일러나 온수관을 거쳐 나오는 과정에서 냉수보다 중금속 등 유해물질에 오염될 가능성이 훨씬 크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히 위생의 문제를 넘어,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에 우리 가족의 건강이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지적이다.국내 기관 역시 같은 의견을 내놓았다. 서울아리수본부는 온수 배관의 목적 자체가 음용이 아닌 난방이나 온수 공급에 맞춰져 있다고 명확히 선을 그었다. 뜨거운 물은 차가운 물보다 화학 반응성이 높아 배관의 부식을 더 빠르게 진행시키며, 이 과정에서 배관 재질에 포함된 다양한 금속 성분이 물에 녹아 나올 가능성이 커진다. 결국 우리가 편의를 위해 사용하는 온수에는 납을 비롯한 각종 중금속과 불순물이 냉수보다 더 많이 포함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는 셈이다. 깨끗하게 정수된 물이라도 노후된 온수관을 통과하는 순간, 그 수질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상태로 변질될 수 있다.이러한 위험성은 실제 실험을 통해서도 구체적인 수치로 증명되었다. 준공된 지 40년이 지난 오래된 아파트에서 온수와 냉수를 각각 채취하여 납 성분 검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온수에서 냉수보다 2배가량 많은 납 성분이 검출되었다. 비록 검출된 양이 법적 기준치의 절반 수준에 그쳐 당장 인체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정도는 아니었지만, 전문가들은 결코 가볍게 넘길 사안이 아니라고 경고한다. 기준치 이하라도 중금속에 장기간,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체내에 축적되어 신장 기능 저하나 심각한 신경계 손상 등 돌이킬 수 없는 건강상의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따라서 전문가들은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으로 요리 시에는 반드시 냉수를 사용할 것을 한목소리로 권장한다. 냉수를 받아 냄비나 주전자에 직접 가열하는 것이 훨씬 안전하다는 것이다. 또한, 냉수라 할지라도 밤새 혹은 장시간 사용하지 않아 배관 속에 고여 있던 물에는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사용 전 약 30초 정도 물을 그냥 흘려보내 배관을 한번 씻어낸 뒤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처럼 사소해 보이는 작은 습관의 변화가 우리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중금속 오염의 잠재적 위험으로부터 지키는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

Today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