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IZ

6천억 받고 79층 허가…삼표 부지 개발, 서울시와 개발사의 '빅딜' 전말

 서울 성동구 성수동의 스카이라인을 바꿀 초고층 랜드마크 개발 계획이 최종 확정되었다. 서울시는 27일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어, 45년간 지역의 해묵은 과제였던 옛 삼표레미콘 부지에 최고 79층 규모의 복합시설을 건립하는 세부개발계획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다. 1977년부터 레미콘 공장으로 운영되며 분진과 소음 문제를 일으켰던 이 부지는 2022년 공장 철거 이후 새로운 변화를 예고해왔으며, 이번 결정으로 서울숲과 한강을 아우르는 서울의 새로운 대표 건축물이자 미래형 복합 공간으로 거듭날 채비를 마치게 되었다.

 

이번 개발은 서울시의 '사전협상제도'를 통해 추진된 대표적인 민관 협력 사업이다. 서울시는 민간 사업자인 SP성수PFV 측에 용적률 인센티브 등을 제공하는 대신, 약 6,054억 원에 달하는 공공기여를 확보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신축되는 건물은 단순한 주거 시설을 넘어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는 핵심 거점으로 기능하게 된다. 전체 연면적의 35% 이상을 첨단 산업 분야의 기업들을 유치할 업무시설로 채우고, 이와 연계된 판매, 문화 등 다양한 상업 기능을 도입한다. 또한, 직장과 주거지가 가까운 '직주근접' 환경을 실현하기 위해 전체의 40% 이하 범위에서 최고급 주거시설도 함께 조성될 예정이다.

 


개발에 따른 이익은 대규모 공공기여를 통해 시민들에게 환원된다. 총 6,054억 원 규모의 공공기여금은 서울숲 일대의 고질적인 교통 정체를 해소하기 위한 도로 등 기반 시설 확충에 우선적으로 투입된다. 또한,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스타트업을 종합 지원하는 서울시 '유니콘 창업허브'가 이곳에 조성된다. 이 외에도 사업자는 성동구에 488억 원, 서울시에 1,140억 원의 공공시설 설치 비용을 현금으로 부담하게 된다. 단순한 금전적 기여를 넘어, 단절되었던 서울숲과 부지를 직접 연결하는 입체 보행 공원을 조성하여 시민들이 자유롭게 오가며 쉴 수 있는 녹지 공간을 대폭 확충하는 계획도 포함되었다.

 

'건축혁신형 사전협상' 대상지로 선정된 만큼, 이번 프로젝트는 서울의 도시 건축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혁신적인 디자인을 선보일 전망이다. 서울시는 서울숲과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해 입체 보행데크의 건폐율을 최대 90%까지 완화하고, 용적률 역시 최대 104%포인트의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파격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이를 통해 시민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하고 즐길 수 있는 개방적인 공유 공간을 품은 창의적인 건축물이 탄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내년 1월 중 계획안을 최종 고시하고, 건축 심의 등 관련 인허가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여 이르면 내년 말 착공에 들어간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