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미국판 이완용?…트럼프 특사, 적국 러시아에 '항복 문서' 컨펌 받은 정황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추진해 온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의 민낯이 드러나며 워싱턴 정가가 발칵 뒤집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특사이자 종전 협상 대표인 스티브 윗코프가 러시아 크렘린궁 고위 인사에게 우크라이나 영토 양보를 먼저 제안하고, 협상 전략까지 조언한 통화 녹취가 공개됐기 때문이다. 블룸버그 통신이 25일 보도한 녹취록에 따르면, 윗코프 특사는 지난달 14일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정책 보좌관과의 통화에서 "평화 협정을 성사시키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안다"며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지역과 다른 땅의 교환"을 직접 거론했다. 심지어 두 사람이 먼저 협상안을 만들어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안하는 '각본'까지 제시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러시아에 극도로 편향된 종전 협상을 비밀리에 추진해왔다는 의혹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로이터 통신은 26일,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공개한 '28개조 평화안'이 사실상 러시아 측의 초안을 거의 그대로 베낀 것이라고 보도하며 파문에 기름을 부었다. 이 평화안은 지난 10월 트럼프의 맏사위 재러드 쿠슈너와 윗코프 특사가 푸틴의 최측근인 키릴 드미트리예프 러시아직접투자펀드(RDIF) 대표를 미국 마이애미에서 비밀리에 만난 뒤 구체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평화안에는 우크라이나가 동부 돈바스 지역을 러시아에 넘기고, 군대 규모를 60만 명으로 대폭 축소하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추가 확장을 억제하는 등 러시아의 요구사항이 일방적으로 담겨 있어 충격을 더했다. 미국의 특사가 적국인 러시아와 공모해 동맹국인 우크라이나의 영토를 넘기는 방안을 논의한 것도 모자라, 그 결과물이 공식 평화안으로 둔갑한 정황이 드러난 것이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미국 내에서는 여야를 막론하고 격앙된 반응이 터져 나왔다. 공화당의 브라이언 피츠패트릭 하원의원은 "비밀 회동과 부적절한 개입을 중단하라"고 촉구했으며, 같은 당의 돈 베이커 하원의원은 윗코프 특사의 즉각적인 해임을 주장했다. 민주당에서는 '반역자'라는 격한 표현까지 등장하며 맹비난을 퍼부었다. 워싱턴 정가에서는 해당 평화안이 러시아의 입장을 정리한 '희망 사항 목록'일 뿐이라는 회의론이 팽배하지만, 정작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담당자가 으레 하는 일"이라며 윗코프 특사를 감싸고 돌아 논란을 더욱 키웠다. 대통령이 협상 대표의 노골적인 친러 행보를 사실상 묵인, 방조한 셈이다.

 

이번 사태는 향후 종전 협상 자체를 뿌리부터 흔들고 있다. 미국과 러시아 최측근 간의 비밀 소통 채널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면서 양국 간 신뢰는 바닥으로 떨어졌고, 협상의 공정성 역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외교가에서는 이번 녹취 유출의 배후로 트럼프의 성급한 종전 협상에 반대하는 유럽 정보기관, 러시아 내부 강경파, 혹은 트럼프의 대러 정책에 불만을 품은 미국 정보기관 내부자 등 다양한 가능성이 거론된다. 크렘린궁은 "평화 노력을 방해하려는 시도"라며 유출 자체를 비난했지만, 이미 드러난 '밀실 거래'의 실체는 향후 모든 협상 과정에 짙은 불신의 그림자를 드리울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윗코프 특사를 재신임하며 사태 수습에 나섰지만, 한번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기는 어려워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