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
추사 김정희가 남긴 '금지된 방명록', 270년 만에 최초 공개

전관 개관을 기념하는 특별전 '오대산사고 가는 길'이 7월 13일까지 개최된다. 이 전시에서는 월정사 승려들이 산속에서 운영했던 실록 보관처인 오대산사고의 역사를 담은 유물 40여 점을 선보인다. 특히 '동여도'와 '관동명승첩' 같은 조선시대 지도와 화첩을 통해 오대산사고를 방문했던 옛 사람들의 발자취를 엿볼 수 있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 조정은 국가 도서를 보관하는 외사고를 산속 깊은 곳에 두는 정책을 시행했다. 습기에 약한 서적 관리를 위해 사관들이 정기적으로 실록을 꺼내 말리는 '포쇄' 작업은 산속 사고에서 더욱 중요해졌다. 이번 전시에서는 조선 영조 때 재상 채제공과 조선 말기 대학자 김정희 등이 젊은 시절 포쇄 업무를 맡아 오대산사고를 방문한 기록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추사 김정희가 강릉 오죽헌에서 남긴 방명록 '심헌록'이 최초로 공개된다. 이 방명록은 1662년부터 1932년까지 270년간 오죽헌을 방문한 1,149명의 이름을 담고 있어 그 자체로 역사적 가치가 크다.
새롭게 조성된 디지털 영상실에서는 조선왕조 역사가 실록에 기록되고 사고에 보관되는 과정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15분짜리 영상 두 편이 상영된다. 거대한 화면을 입체적으로 구성해 독특한 시각적 체험을 제공한다.

어린이박물관도 새롭게 마련되어 '숲속 임금님의 보물창고, 오대산사고'라는 주제로 실록에 등장하는 동물 캐릭터를 활용해 어린이들이 실록과 의궤의 제작 및 보관 방법을 디지털 게임 형태로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했다.
상설전시실은 3부로 구성되어 실록 실물을 통해 오대산사고의 역사를 재구성했다. 1부 '깊은 산속에 품은 조선왕조의 역사, 오대산사고', 2부 '조선왕조실록, 역사를 지키다', 3부 '조선왕조의궤, 왕조의 모범을 보이다'를 통해 실록과 의궤의 편찬부터 일제에 의한 반출, 그리고 110년 만의 귀환까지의 여정을 살펴볼 수 있다. 교정쇄본인 오대산사고본에만 남아있는 붉은 먹의 교정부호와 왕실 전용 어람용 의궤의 단아한 색채는 조선왕조의 치밀한 기록정신과 미의식을 보여준다.
환수된 실록 75책과 의궤 82책 중 현재 박물관에는 실록 8책과 의궤 19책만 전시되고 있다. 원래는 모든 소장품을 새 박물관으로 이관할 계획이었으나, 수장고와 보존과학실 용도의 건물 증축 예산 확보에 차질이 생겨 전면 이관은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다.
박물관은 5월 1일 정식 개관일을 맞아 방문객 100명에게 기념품을 선착순으로 증정하며, 5월 1일부터 5일까지의 연휴 기간에는 '야외 도서관' 운영과 함께 웹툰 '조선왕조실톡'의 무적핑크 작가,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의 박시백 작가와의 토크쇼 등 다양한 문화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