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저널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죽이는 자체 개발 '생화학 나노머신' 개발

 국내 연구팀이 세포막을 뚫고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죽일 수 있는 새로운 '생화학 나노머신'을 개발했다.

 

나노머신은 암 세포막과 만나면 접었다 펼 수 있으며, 직접 세포에 침투해 세포 소기관을 파괴해 죽음을 유도한다.

 

20일 생체분자인식연구센터 정용도 박사팀은 서울대 궈상구 교수팀, 유지형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울산과학기술원과 퓨전바이오텍 박사. 그들은 움직임을 통해 세포막을 관통한 다음 암세포를 죽이는 나노머신을 만들었습니다.

 

나노머신은 기계적 운동을 위해 에너지를 사용하는 나노스케일 구조입니다.

 

연구팀은 단백질이 거시적으로 구조화된 축과 실제 움직이는 부분으로 분리되어 의도적으로 특정 부분만 축을 중심으로 움직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2nm 규모의 나노입자 주위에서 유기분자를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나노머신을 설계하고, 세포막을 관통하게 한다. 

 

개발된 나노머신은 암 세포막과 만나면 접었다 폈다 하는 기계적 움직임을 보이며, 세포 속으로 직접 침투해 세포 소기관을 파괴하고 사멸을 유도한다.

 

특히, 나노머신의 기계적 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연구팀은 수소 이온 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낮은 환경에서만 방출되도록 설계된 잠금 분자를 나노머신에 내장했다.

 

연구팀은 "치료제를 전달하는 캡슐화된 나노캐리어와 달리 나노머신은 항암제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적 움직임을 통해 암세포를 직접 죽이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그는 “높은 pH의 정상 세포에서는 나노머신의 움직임이 제한돼 세포 안으로 침투할 수 없지만, 낮은 pH에서는 암세포 주변의 나노머신의 걸쇠 분자가 방출돼 세포 속으로 침투한다." 암세포. "

 

정 박사는 “단백질이 환경에 따라 형태를 변화시켜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화학학회지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