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저널

추운 겨울 지나고...봄철 ‘십자인대파열’ 주의

 봄기운이 만연하면서 정체되어 있던 야외활동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겨울 동안의 부족한 활동량으로 인해 근육과 인대에 무리가 가게 되고 과도한 운동은 부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스포츠 부상 중 대표격인 십자인대 파열은 무릎 관절에서 십자 모양으로 교차된 인대가 손상되는 질환을 말한다. 십자인대는 위치에 따라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로 나뉜다.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유발한다.

 

 

 

과도한 운동이 원인일 경우 대부분 전방십자인대 파열에 해당한다. 주요 원인은 고속으로 움직이는 운동을 할 때 급격한 방향전환, 급정지, 잘못된 자세로 착지 등이다. 또한 후방십자인대 파열은 교통사고나 후방파열에 의해 발생하며 전방십자인대 파열에 비해 드물지만 무릎 주변의 구조가 함께 손상될 수 있다.

 

 

 

이 질환이 발생하면 무릎에서 '펑'하는 소리가 들리면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무릎 안쪽에서 출혈이 일어나면 붓기와 짙은 파란색 멍이 생길 수 있다. 경미한 경우에는 증상이 완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십자인대는 한번 손상되면 스스로 회복되지 않고 방치할 경우 퇴행성 관절염과 같은 2차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통해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운동 후 무릎 관절에 지속적인 통증이 있거나 운동 제한 등의 증상이 있다면 십자인대 파열을 의심하고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파열의 범위가 넓지 않고 증상이 경미한 경우 염증이나 통증을 완화시키는 약물을 복용하거나 파열된 부위의 인대를 강화하기 위한 주사요법 등의 보존적 치료나 보조기 착용 등으로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완전히 파열되거나 보존적 치료만으로는 호전되기 어려운 경우 파열의 정도와 위치에 따라 봉합이나 재건과 같은 외과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수술 후 충분한 재활치료와 함께 일상생활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충분한 스트레칭을 통해 뻣뻣한 관절을 풀고 무릎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